IdoCleanCode
article thumbnail
반응형

파이썬 튜토리얼

ch() 함수 이해하기
ch() 함수 이해하기

 chr() 정의

  • chr()함수는 파이썬의 내장 함수로, 주어진 정수 값을 해당하는 유니코드 문자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chr() 사용법

  • 기본적인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char = chr(integer)​
     여기서 integer는 변환하고자 하는 정수를 의미합니다.

 

chr() 이용한 예제

  • 유니 코드 문자 출력 
    print(chr(97))  # 출력: 'a'
    print(chr(65))  # 출력: 'A'
    print(chr(8364))  # 출력: '€'​
  • 알파벳 출력
    for i in range(97, 123):
        print(chr(i), end=' ')​

 

유니코드와 chr() 함수의 관계

  • 유니코드는 전 세계의 모든 문자를 컴퓨터에서 일관되게 표현하고 다루기 위한 산업 표준이며, 각 문자는 고유의 숫자로 매핑됩니다. chr() 함수는 이러한 유니코드 매핑을 활용하여 정수를 문자로 변환합니다.

 

chr() 와 ord() 의 차이점

  • ord() 함수는 chr() 함수와 반대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print(ord('A'))  # 출력: 65
    print(ord('a'))  # 출력: 97
    print(ord('€'))  # 출력: 8364
    
    char = 'A'
    unicode_value = ord(char)
    print(unicode_value)  # 출력: 65
    
    new_char = chr(unicode_value)
    print(new_char)  # 출력: 'A'​

chr() 활용한 문제

반응형
profile

IdoCleanCode

@IdoCleanCode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