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oCleanCode
article thumbnail
728x90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연습 - 코드 처리하기

1. 문제

문자열 code가 주어집니다. code를 앞에서부터 읽으면서 만약 문자가 "1"이면 mode를 바꿉니다. mode에 따라 code를 읽어가면서 문자열 ret을 만들어냅니다.

 

mode는 0과 1이 있으며, idx를 0 부터 code의 길이 - 1 까지 1씩 키워나가면서 code[idx]의 값에 따라 다음과 같이 행동합니다.

  • mode가 0일 때
    code[idx]가 "1"이 아니면 idx가 짝수일 때만 ret의 맨 뒤에 code[idx]를 추가합니다.
    code[idx]가 "1"이면 mode를 0에서 1로 바꿉니다.

  • mode가 1일 때
    code[idx]가 "1"이 아니면 idx가 홀수일 때만 ret의 맨 뒤에 code[idx]를 추가합니다.
    code[idx]가 "1"이면 mode를 1에서 0으로 바꿉니다.
    문자열 code를 통해 만들어진 문자열 ret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단, 시작할 때 mode는 0이며, return 하려는 ret가 만약 빈 문자열이라면 대신 "EMPTY"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code result
"abc1abc1abc" "acbac"

2. Python

2.1. 반복문과 조건문 사용

<python />
def solution(code): mode = 0 ret = "" for idx in range(len(code)): if code[idx] == "1": mode = 1-mode elif mode == 0 and idx % 2 == 0: ret += code[idx] elif mode == 1 and idx % 2 != 0: ret += code[idx] return ret if ret else "EMPTY"

문자열 code를 입력받아서, 특정 규칙에 따라 새로운 문자열을 만들어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1. 변수의 초기화

  • mode는 상태를 표시하는 변수로, 처음에는 0으로 설정
  • ret는 최종적으로 반환할 문자열로, 초기에는 빈문자열로 ""으로 설정

2.문자열 순회

  • code 문자열의 각 문자를 순회합니다. idx는 현재 문자의 인덱스를 나타냅니다.

3. 모드 전환

  • 현재 문자가 "1"이면, mode의 상태를 전환합니다. mode가 0이면 1, 1이면 0으로 변환

4. 문자열 추가 조건

  • mode가 0인경우, 인덱스가 짝수일 때만 현재 문자를 ret에 추가
  • mode가 1인경우, 인덱스가 홀수일 때만 현재 문자를 ret에 추가

5. 결과 반환

  • 순회가 끝난 후, ret에 어떤 문자에 추가되지 않았다면 "EMPTY"를 반환
  • 그렇지 않는다면, 조건에 따라 ret을 반환

2.2. enumerate()사용

<python />
def solution(code): mode = 0 ret = "" for idx, char in enumerate(code): if char == "1": mode = 1 - mode elif mode == 0 and idx % 2 == 0: ret += char elif mode == 1 and idx % 2 != 0: ret += char return ret if ret else "EMPTY"

iterable 객체를 인덱스와 함께 순회할 때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인덱스 번호와 컬렉션의 값을 튜플 형태로 변환합니다.

 

3. 함께 보는 자료

[코딩 테스트] 프로그래머스 - 문제 풀이 모음

728x90
profile

IdoCleanCode

@IdoCleanCode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

IdoCleanCod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