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oCleanCode
728x90
article thumbnail
[파이썬] 함수의 매개변수와 인자
카테고리 없음 2024. 3. 27. 21:07

파이썬 튜토리얼 매개변수의 순서 매개변수의 순서는 위치 순서대로 인자가 함수에 전달 될때 함수가 정의된 매개변수 순서대로 매칭이 됩니다. def greet(name, message): print(f"Hello {name}, {message}") greet("Alice", "Good morning!")​ 매개변수의 기본값 파이썬에서 함수를 정의할 때, 매개변수와 함께 = 연산자를 사용하여 기본값을 할당 가능합니다. def 함수명(매개변수=기본값): # 함수 본문​ 예를 들어 매개변수 기본값이 있고 호출시 인자를 입력하지 않으면 기본 값이 출력되고, 입력시 그 해당 값을 출력합니다. def 인사하기(이름="승헌"): print(f"안녕, {이름}!") 인사하기() #출력: 안녕, 승헌! 인사하기("세호") ..

article thumbnail
[파이썬] 함수의 기본
카테고리 없음 2024. 3. 27. 06:25

파이썬 튜토리얼 함수란 무엇인가 함수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의 블록 함수는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모듈화를 통해 프로그램의 구조를 개선 함수는 입력(매개변수)을 받아 처리하고, 결과물을(반환 값)을 출력 함수의 정의와 호출 함수를 정의하기 위해 def 키워드를 사용 def 함수명(매개변수): #실행할 코드 return 반환값​ 함수를 호출하려면 함수 이름과 괄호를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괄호 안에 인수를 포함 #함수 호출 함수명(인수)​ 매개변수와 인수 매개변수(Parameter)는 함수를 정의에서 함수에 전달된 값을 받는 변수 인수(Argument)는 함수를 호출할 때 함수에 전달하는 실제 값 #함수의 정의 def 함수명(매개변수): return 반환값 #함수의 호출 함수명(인수) 반환 값 반..

article thumbnail
[파이썬] 프로그래머스 코딩 기초 트레이닝 - 문자 리스트를 문자열로 변환하기
카테고리 없음 2024. 3. 24. 12:35

코딩 테스트 - 프로그래머스 문제 문자들이 담겨있는 배열 arr가 주어집니다. arr의 원소들을 순서대로 이어 붙인 문자열 retrun 하는 solution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문제 풀이 주어진 문자 배열을 순서대로 이어 붙여 하나의 문자열로 만드는 과정입니다.파이썬에서 join() 메서드를 사용하여 작업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def solution(arr): answer = ''.join(arr) return answer 빈문자열 ''을 구분자로 사용합니다. 이는 원소들 사이에 추가적으로 문자를 삽입하지 않고 순수하게 원소들만 이어 붙이고자 할때 사용합니다 join 메서드 호출할때, 구분자로 사용할 문자열 앞에 .을 찍고, 괄호안에 이어붙이고자 하는 문자열 리스트를 넣는다. 생성된 문자열이..

article thumbnail
[파이썬] join() 이해하기
카테고리 없음 2024. 3. 23. 14:02

여러개의 문자열을 하나로 결합 할때 사용되며 특정한 구분자를 이용해 문자열 사이에 삽입하면서 결합합니다. [파이썬] join() 이해하기 기본문법 '구분자'.join(반복 가능한 객체) 여기서 구분자는 결합할 문자열 사이에 삽입될 문자열을 의미 반복 가능한 객체는 iterable이며 파이썬에서 튜플 리스트 객체 등등 있다. 예시 1. 리스트 결합 fruits = ["사과", "바나나", "포도"] joined_string = ", ".join(fruits) print(joined_string) #출력: 사과, 바나나, 포도 2. 튜플 결합 days = ('월', '화', "수") days_joined_string = '-'.join(days) print(days_joined_string) #출력: 월-화..

article thumbnail
[파이썬] 프로그래머스 코딩 기초 트레이닝 - 문자열 섞기
카테고리 없음 2024. 3. 22. 16:56

코딩 테스트 - 프로그래머스 문제 길이가 같은 두 문자열 str1과 str2가 주어집니다. 두 문자열의 각 문자가 앞에서부터 서로 번갈아가면 한 번씩 등장하는 문자열을 만들어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입출력예 st1 str2 result "aaaaa" "bbbbb" "abaabababab" 문제풀이 두 문자열을 번갈아가며 섞는 방법은 대해 설명하면, 이 과정은 반복문을 사용하여 각 문자열에 접근하고, 인덱싱을 통해 문자를 추출하여 두 문자열을 합쳐 새로운 문자열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def solution(str1,str2): result = "" for i in range(len(str1)): result += str1[i] + str2[i] return resu..

728x90